여행-관광-지역소개 (485) 썸네일형 리스트형 기막힌 웰빙 산책로 성지곡수원지 기막힌 웰빙 산책로 성지곡수원지 부산의 초음동 어리이 대공원일대 성지곡수원지는 자연이 살아있는 도심숲으로서 기막힌 웰빙산책길입니다.초읍 어린이 대공원입구에서 수원지까지 진입하는 길은 울창한 편백림사이로 잘 정비된 나무데크를 따라 약간의 경사도가 있는 좋은 산책겸 등산로입니다. 다 오르고 나면 시원하게 펼처지는 호수가 있고 호수를 한바퀴돌수 있는 편한 산책로가 숲속으로 뻗어 있습니다.체력이 남아도는 분은 인접 백양산으로 또는 쇠미산과 금정산을 오를수도 있습니다. 어린이와 동반 산책한다면 최근 개장한 동물원도 좋은 구경거리가 될것입니다. 갈맷길 구간이기도 한 이곳 성지곡 수원지길은 부산에서 가장 뛰어난 웰빙 산책코스일것입니다. 2014 자라섬 불꽃축제 안내 2014 자라섬 불꽃축제 안내 2014 자라섬 불꽃축제 포스터가 떳네요. 트위터로 본 주소는 http://blog.naver.com/cnk_jff/220005248319입니다. 아래는 네이버지도 링크입니다. 2014.6.2 | 지도 크게 보기 © NAVER Corp. 2014 자라섬 불꽃축제 일정: 2014년 8월 14일~17일 찾아가기 안내가평 터미널, 가평역에서 하차 후 도보로 10~15분! 대중교통 / PUBLIC ITX-청춘열차 이용 시 (춘천행 탑승)용산역→가평역 | 약 55분 소요,청량리역→가평역 | 약 40분 소요 경춘선 전철 이용 시 (춘천행 탑승),상봉역→가평역 | 약 52분 소요 버스 이용 시 (From Seoul)시외버스: 동서울터미널에서 춘천행 시외버스 탑승 → 가평 터미널 하차 약.. 초여름밤의 고성(古城) 산책기 초여름밤의 동래고성(東來古城) 산책기 초여름 야간산책으로 마안산을 한바퀴 돌았다.충렬사 뒤편에서 출발해서 동장대를 지나고 학산여중고를 지나 인생문을 건너서 북장대를 거처서 북문으로 내려와서 박물관 앞으로 빠저나오는 코스를 택했다. 한바퀴돌고 내려오면서 동래시장부근에서 목을 추기고 돌아오는 이 코스는 아주 적당한 산책겸 등산코스이다. 동래의 이 좋은 자연환경속에는 그옛날 동래현 또는 동래부로 지정된 역사의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 잇다.아래는 동래성의 가장 높은 북장대에서 쉬면서 또 북문을 내려오면서 담은 야간사진입니다. 울산대공원 장미정원 관람후기 울산대공원 장미원 장미축제 방문기. 매년 성황리에 열리는 울산 장미축제의 행사가 올해는 취소됬지만 방문객을 위한 관람은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어제 부산노포동에서 시외버스를 이용해서 방문하고 하루를 즐기고 온 후기를 남긴다.너른 장미계곡으이 장미의 계절로 온통 장미가 한창이다. 매년 참관하지만 올해는 북적대는 축제가 취소된 관계인진 몰라도 띄엄띄엄 한산한 분위기가 붐비는 예년에 비해서 관람하기가 훨씬 좋다. 장미원전체의 식재넓이는 해마다 조금씩 더 넓어지는 느낌이며 요란한 꾸밈이 없어보여서 자연스워 보기가 좋다.잘 가구어진 장미들이 한결같이 탐스럽고 종류별로 조화롭게 배치된 장미원이 맘에 든다. 특히 빠짐없이 기록된 장미곷의 이름과 원산지와 품종개발자까지 정리해서 붙여논 네임판넬이 좋다. 방문중에 .. 2014 제9회 울산대공원 장미축제(취소/관람가능). 2014 울산대공원 장미원소식제9회 울산장미축제가 전면 취소 되었지만 준비된 장미원관람은 제공된다고 합니다. 울산대공원에서는 매년 5월 장미축제를 열었지만, 올해는 세월호 참사 여파로 취소된것이라고 합니다. 울산대공원 장미계곡 일원에서 열리는 울산대공원 장미축제도 세월호 애도기간때문에 전면 취소되지만 준비된 시설에대한 관람객의 편의는 제공한다는 소식이며, 장미언덕, 장미광장, 큐피트정원, 비너스정원, 미네르바의 정원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각존에는 포토존이 마련되있다. 울산대공원 장미원 규모는 총263종 5만5천 그루의 장미가 식재되있고 현재 개화율은 약80% 정도로서 관람기간동안 절정을 이룰것으로 추측됩니다.2006년부터 시작한 울산대공원 장미축제는 대단한 규모로서 2013년에 9일간 152만명의 엄청난 .. 감포(甘浦)로 가는길에 감포(甘浦)로 가는길에 두곳을 담는다. 동해안 따라 가다가 감포에서 새벽에 일어나서 대왕암까지 내려가 문무대왕암 바라보며 아침을 맞이한다.백사장을 걸으며 갈매기 떼지어 나르는 바닷가에서 동해바다 지킨다는 문무대왕 수중릉 바라본다. 아름다운 감포에서 아침을 맞이하고 대왕암(大王巖)을 보다가 골굴사 가는길에 감은사지(感恩寺址)를 둘러본다. 감은사지 3층석탑에 해가 갈린 시간맞춰 사진몇장 남긴다.문무왕이나 신문왕이나 감은사지나 대왕암이나 모두다 다지고 보면 호국정신 하나로 귀결된다.오늘날 우리가 감포로 가는길에 만나는 감은사로 들어오던 해룡이나 나라지키는 대왕암이야기가 왜 곡 필요한지 생각해 본다. 부산항대교 진입로 부산항대교 진입램프 부산항대교(북항대교)가 개통되어 한번쯤 타 보고싶을 것이며 진입램프를 정확히 알고 싶을것입니다. 2014년 5월23일 0시를 기해서 개통되었습니다. 아직은 다음지도나 네이버지도에서 나타나지도 않으며 내비도 지원하지 않습니다.아래는 부산일보 기사를 발췌한 것입니다. 이미지출처: http://news20.busan.com/content/image/2014/05/20/20140520000088_0.jpg 부산항대교 연결 램프 부산항대교 램프는 남구에 2곳, 영도구에 3곳이 설치돼 있다. 남구에는 감만동 용당화물차 전용 휴게소 인근 신선로에 임시 램프, 감만현대아파트 사거리 인근에 공식 램프가 있다. 광안대교를 이용하는 운전자들은 대연 고가차도를 거쳐 동명오거리~용당세관~용당화물차 전용 휴게.. 덕숭산 덕숭총림 수덕사-德崇山德崇叢林修德寺-Temple SOODUCK-SA 수덕사(修德寺)탐방 사진과 간략(簡略) 덕숭산 덕숭총림 수덕사,德崇山 德崇叢林 修德寺, Temple SOODUCK-SA 수덕사(修德寺)는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에 있는 절로서 백제 15대 침류왕 2년(358년)에 수덕각시라는 관음 화신이 중생 제도를 위해 창건했다는 전설이 내려오는 명산 고 대찰이다. 전각 수리공사를 할때 기록에 의해서 고려 25대 충렬왕 34년(1308년)의 건물임이 확실히 밝혀 진 고찰이다. 덕숭산을 중심으로 산 위에는 비구(남자 중)가 거처하는 정혜사가 있으며, 서쪽에는 비구니(여자 중)가 운영하는 총림이 있으며 관음 바위, 미륵 석불, 만공탑, 전원사 등이 이 산에 자리잡고 있다.특히 역사적인 화가 담징이 그린 대웅전 벽화가 유명하다. 덕숭총림 수덕사의 소장 문화재 ..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