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910

삼랑진양수발전소에서 천태사 까지

삼랑진양수발전소에서 금오산 경유 천태사까지 가벼운 근교 산행 겸 나들이를 했다. 부산에서 기차를 타고 삼랑진에 하차해서 삼랑진 양수 발전소에서 목련꽃 한창인 발전소 쉼터에서 좀 쉰 후에 발전소에서 쳐다보면 보이는 하얀 건물이 있는 곳까지 도착했다. 천태 아파트 방면으로 다니는 마을버스가 있긴 한데, 일요일은 운행 안 하는 재미있는 아날로그 지역입니다.ㅎㅎㅎ 삼랑진 양수발전소 마당에서 쳐다보면 보이는 하얀 건물이 있는데 , 사실 항상 궁금했던 산허리의 건물도 보고 등산도 할 겸 호기심이 발동해서 그 방향으로 갔지만 미스터리건물쪽으로 가지 말길 바랍니다. 미스테리 건물 뒤로는 여간 험한 길이 아니며 마지막엔 수직 암벽을 만나는데 암벽 아래에서 좌측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함께 갔던 두 팀도 건물에서 되돌아 하..

TV(모니터) 크기 인치 상식

텔레비전(모니터) 인치별 가로 세로 크기 알아보기 먼저 텔레비젼(TV)크기는 인치로 말하는데, 그 인치는 화면의 대각선 사이즈(크기)를 말합니다. 그래서 실제로 가로:세로의 길이를 짐작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그리고 가로대 세로의 비율이 4:3이었다가 16:9 또는 16:100 이렇게 바뀌고 있음으로 더욱 헷갈립니다. 대형 TV 형태로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42인치부터 알아봅니다. 사실 수학적으로 다 아는 피타고라스 정리를 하면 되지만 보통은 거기까지 안 해보는데, 어쩔 수 없이 계산 한번 해 봅니다. 단 가로:세로 비율은 16:9 화면이라는 가정하에 계산합니다. 42인치 자승= 가로 자승+(9*가로/16) 자승이지요. 세로 자승은= 42 자승*16 자승/(16 자승+9 자승). 세로=9/16가로 답은 인..

다목적렌즈 탐론18-200

다목적 렌즈 탐론 18-200 알아보기 생활렌즈 또는 하나로렌즈 ,여행용렌즈 ,다목적렌즈로 불리는 편리한 렌즈의 화각대를 최대한 커버하면서 비교적 저렵한 렌즈를 찾아본다. 기본렌즈로서의 화각대는 15mm,17mm,18mm,30mm 정도에서 시작되어 적어도 200mm,250mm 전후를 커버하는 줌렌즈라면 일상의 거의 모든 장르를 렌즈교환없이 편하게 쓸수 있다고 생각되며 실제로 이 화각대를 겨냥한 렌즈들은 여러 메이커에서 집중적으로 개발하여 제품도 많다. 이글은 제품메이커와 어떤 관련이 없는 개인적인 리뷰일 뿐입니다. 250mm이상의 줌 성능을 가진다면 이른바 조류탐사용으로 분류되는 고성능 망원군에서 알아보기로 하고 여기서는 그 목록을 배제한다. 아주 먼거리가 아니라면 사실 200~250mm로도 생활권의 망..

공포의 파란화면-Blue Screen of Death

죽음의 파란화면 - Blue Screen of Death 메모리덤프(memory dump) Error code List-에러코드 목록 윈도우가 나오고 부터 BSOD 즉 죽음의 파란화면은 사용자들에게는 공포의 대상이다. 아무리 중요한 작업을 하고 있는 중이라도 어떠한 대책도 없이 재부팅 이외에는 방법이 없는것이 이 파란화면이다. 그래서 공포의 파란화면이고 죽음의 파란화면이라고 한다. BSOD (Blue Screen of Death)는 stop error, BSOD, bluescreen, Blue Screen of Doom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운영체제가 시스템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서 할수 있는 마지막 방법으로서, 시스템을 종료시킬수 밖에없는 치명적인 시스템 에러가 발생할때 보여주는 화면입니다. BSO..

삼족 3족범위 !

조선시대에 역적이 되면 삼족을 멸한다고 했는데 일가 친척이 무슨죄가 있나? 사실 조선시대에도 명은 있으나 삼족을 전부 멸한 경우는 없었다고 알고 있으며 친족을 멸한경우는 더러 있었다고 알고 있다. 중국과 우리나라가 인정하는 3족은 어디까지인가? 1족:본인의 가족. 2족:처가 일족 . 3족:외가 일족. 본인의 가족은 사실상 역적 모의를 하거나 역적 모의를 방조한 죄로 처벌할수도 있다고 본다. 그러나 어떤 영문인지도 모를 죄없는 외가,처가 전부 처벌 받는다는 것 은 이해 할수 없는 일 이다. 문제는 3족에 3족이 물려서 9족도 되고 그 이상이 될수도 있을까 우려스럽다. 가장이 죄인이라면 아들과 딸이 성인일경우 형벌은 아니드래도 불이익을 받게 되는 범위는 엄청나게 늘어나기 때문이다.

뉴스종합/뉴스일반 2021.02.15 (3)

사룡산과 생식마을

낙동정맥 21-1구간 사룡산 삼거리 찍고 생식 마을 탐방기낙동점맥에 도전 하면서 생각지도 몯했던 장소를 만나곤 하는데 이번에 처음 보게 된 생식 마을입니다. 낙동정맥 인증지점을 통과 하면서 알게 된 장소이기 때문에 사전 지식 없이 만난 오지 마을에 당황 했습니다.사룡산 아래 해발 600~700m정도의 고도 골짜기에 아담하게 자리잡은 작은 마을이었습니다. 산의 크기로 봐서 이곳이 이런 오지가 있다는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로 심심산골 오지입니다. 자동차 한대가 비낄 수 없을 정도로 좁은 산길 하나가 오직 이 마을로 연결되는 유일한 통로일 뿐입니다. 입구의 커더란 대문에 붙어있는 식물분석장이라는 간판 때문에 이곳이 산골 식물을 연구하는 곳인줄 알 수도있겠지만 이곳 주민들은 전체가 다 식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

트위터 계정 로그인시도

트위팅한 내용을 보려는데 모르는 사람이 로그인 시도블로그 글을 트위터에 올린 후 결과를 보려는데 해외에서 로그인시도가 있다는 안내가 떠 있습니다. 근소한 차이지만 내가 로그인한 것은 아닙니다.포스팅 후 결과를 보려는 사이에 한번 시도한것으로 보입니다.내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무슨 찌라시를 뿌리려고 했는지 모르지만 더러운 홍보나 사기성 홍보를 내 이름으로 뿌린다면 큰일입니다. 자세히 보니까 시도한 곳이 일본입니다. 사실 아이피 기반으로 추적한 위치이기 때문에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남의 계정에 로그인 하려는 사람이 자기 아이피 노출시키고 위치를 알려줄 리는 없을 것임으로 100% 이 위치가 아닐것입니다.우리나라 일 수도 있고 또 다른 나라 일 수도있으며 중국이나 기타 어떤 나라에서 시도 한것인지..

대박 난 직박구리

직박구리의 대박 영상벚꽃이 만발한 벚꽃 나무에서 직박구리 한 마리가 꿀 따먹는다고 바쁩니다. 갑자기 맛있는 꿀이 많아져서 어쩔 줄을 모릅니다. 직박구리가 살다가 대박이 났네요. 먹을 것이 너무 많아져서 어쩔 줄을 모르면서 동료들을 불러 댑니다. 직박구리가 갑자기 많아진 먹거리 때문에 난리가 났네요.먹을 것이 언제나 있는 것도 아닌데 많으면 머 하나... 낼 모래면 허무하게 없어질 것을 알기나 하는지.. 한치 앞을 모르는 것이 세상 이치 아니겠나 ? 직박구리한테 괜히 세상사 돌아가는 철학을 푸념해 봅니다.^^ 갑자기 먹을 것이 너무 많아 진 직박구리 연관글 목록 하얀 동백꽃진화하는 직박구리떼까마귀 바글바글아마추어 새(鳥)사진온천천의 새들봄꽃으로 보는 나무나라(7)멀구슬나무야생 조류 유인하기

봄이 무르익는 동래성에서

봄이 무르익는 고성을 걸어가며 동백꽃 잎 벚꽃 잎이 속절없이 떨어지는 고성의 봄은 이제 깊어만 갑니다. 동래성을 한바퀴 돌면서 북장대 백세계단 북문 장영실 공원을 돌아서 복천 고분군에서 노을 보며 떠나는 봄을 느깁니다. 언제 봄이 왔나 했는데 벌써 봄이 떠나려 하나 봅니다. 고성의 봄은 화려했는지 모르지만 떨어진 꽃잎을 보면서 다가올 실록의 희망찬 계절을 기다려 봅니다. 세상이 코로나19때문에 어수선하고 한치앞을 내다 볼수 없을 만큼 살기가 어렵다고 아우성 치지만 말없이 세월은 가고 또 옵니다. 자존심 강한 동백꽃이 송두리째 떨어 집니다. 떨어진 꽃도 추하게 보이지 않는 것은 동백꽃의 붉은 자존심일 것입니다.벚꽃 잎이 떨어져서 한켠에 수북하게 쌓여서 꽃 이불처럼 보입니다. 북문을 지나면서 벚꽃 어울어진 ..

부산관광-가볼만한곳(2)

부산나들이 - 추천지(2) 부산 사람으로서 내고장을 소개하는것을 빌미로 내가 보고 좋다고 생각하는 곳들을 지난번에 소개하고 남은 부분을 오늘 정리한다. 남도 부산에서 좋은곳이 여기 뿐이이지는 당연히 아니지만 보편적인 기준으로 좋다고들 하는곳과 또 포토매니어들이 사진결과물이 좋은곳으로 이야기 되는곳을 소개합니다. 부산나들이 1 편에서 소개드리지 못한곳을 계속 소개 드립니다. 1편에 이어 이번에도 중요도나 관광지로서의 가치에 관계없이 무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동래범어사 금정산 주봉 고당봉아래 금샘(범어가 노닐었다는 현존하는 바위샘 이며 이에 연유해서 범어사라고 함)이 있는곳에서 내려 쏟아지는 동쪽방향 중턱에 자리한 범어사는 신라 제30대 문무왕 18년(678)에 의상대사가 세웠으며,연관해서 금정산엔 의상봉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