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네스코-문화유산/한국문화유산

신라 유적 탐방기(4) 위풍 당당한 불상

금오산 신라 유적 탐방기(4) 위풍 당당한 불상


선각 6존불을 지나서 삼릉 계곡 중부 능선쯤에 등산로를 따라 오르다 보면 저편 언덕에 자리 잡은 삼릉계 석불좌상[慶州南山三陵溪石佛坐像]의 옆면이 보인다. 금오산의 문화유적들은 하나같이 독특한데 이 불상도 특이하게 불두(머리)와 불체(신)를 나누어 제작해서 결합한 작품이다. 통일신라의 유물이라고 추정되는 이 불상의 모습은 여느 불상에 비해서 매우 위풍당당한 느낌을 준다.

보물 제666호인 이 불상은 일견 많은 보수를 한 것을 알 수 있다. 광배와 얼굴 부분의 코, 입 등 대부분이 복원된 것이며 원형을 추정해서 2007~2008년 국립 경주 문화재 연구소에서 경주시의 의뢰로 복원된 것이다. 이 불상의 특징은 안정감이 있는 당당함이라고 볼 수 있다. 인자하게 미소 띤 모습으로 표현되는 대부분 불상과는 다르게 위엄이 있는 자세로 당당한 모습이다. 복원되긴 했지만, 얼굴형도 위풍당당한 모습이다. 

가사는 얇은 천으로 왼쪽 어깨에만 둘렀음을 볼 수 있고 밀착된 형태로 신체의 윤곽선을 잘 드러내고 있는 모습이다. 이 가사가 정강이에서 발목까지 드리워진 간결한 표현을 볼 수 있다. 불상을 온전히 보호하는 형태의 크기로 별도 제작해서 세워진 광배는 간결하지만, 섬세한 염화 문양과 당초 문양이 잘 표현된 우수한 조형물이란 느낌을 받는다. 

좌대는 상하 양단으로 구성되었으며 상단은 비교적 화려한 연 문양으로 만들어졌고 하대는 장식 없는 민대이다. 이 노천 불상은 종합적으로 볼 때 석굴암 불상과 매우 흡사한 조각 양식을 보여주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의 기본적인 조각양식에 근거해서 표현되었기 때문으로 본다. 

이 불상은 뚜렷한 양식의 표현이나 기법을 볼 수 있으므로 8~9세기경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 불상의 정식 호칭은 경주 남산 삼릉계 석불좌상[慶州南山三陵溪石佛坐像]인데 이 말은 이 계곡 입구에 삼릉이 있는 계곡이라는 데서 삼릉계이며 앉아 있는 석불이란 뜻이다. 때로는 냉골 석불 좌상으로도 불린다. 머리부분이 완전히 훼손되어 추측도 할 수 없는 불상과 달리 이 불상은 상부 머리 부분의 골격을 그대로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복원이 가능했을 것이다. 

이 불상을 본 후 개울을 건너서 상선암으로 가는 길이 비교적 좋으며 상선암에서 다음 편에서 이야기할 거대한 마애불상을 답사하려고 한다. <계속>

삼릉계 석불좌상[慶州南山三陵溪石佛坐像]삼릉계 석불좌상[慶州南山三陵溪石佛坐像]



<시니어리포터 정주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