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관광-지역소개

문무대왕 수중릉-대왕암

반응형
삼국을 통일한 문무대왕의 수중릉 .

부산출발 동해안 해안루트를 따라 경주까지 마치고.
 
문무대왕 수중릉이 있는 작은 돌섬 대왕암은 신라 문무왕(661~681)의 수중릉(水中陵)으로 전해지는 장소이다.
행정구역 주소 경북 경주시 양북면(陽北面) 봉길리(奉吉里) 26번지.

봉길리 에 봉길리 해수욕장이 있고 해수욕장에사 약 200m 떨어진 동쪽의 바위섬을 말한다.
사적 제158호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명 대왕암(大王岩)이라고도 한다.

여행자들 이나 역사 탐방자들은 울산의 대왕암과 많은 착오를 불러 일으키고 있기 때문에 경주시나 울산시에서 이점을 고려해서 구별되는 명칭을 사용하길 바라는 마음이다.

삼국통일을 달성한 문무왕의 유언 즉 " 자신의 시신(屍身)을 불교의식(佛式)에 따라 고문(庫門) 밖에서 화장하여 유골을 동해에 묻어주면 해룡이 되어 동해로 침입하는 왜구를 막겠다"고 한대로 그의 유해를 지금의 봉길리 앞바다 동해쪽으로 대석(大石)에 장사 지냈으며, 이후 이곳을 대왕암이라고 불렀다.

바위의 모양은 사방으로 +자형 수로(水路)를 형성하고 있으며,
특히 동해쪽 수로에서 파도를 따라 물이 흘러 들어와서 서쪽의 수로를 통해 빠저 나가게 되어 있는데 이 구조는 인공적인 것으로 보고 있다.


 
 

그 안에는 상당히 넓은 공간 이 있고 공간 가운데 큰 돌이 있고,
수면이 그 돌을 약간 덮을 정도라고 한다.

유골이 이 돌 밑에 안치되었으리라는 생각을 해 본다.(미확인 불확실한 개인적인 생각임.)

이곳에서 대종천을 따라 약간 내륙쪽으로 가다 보면 오른쪽에 감은사지가 있는데,
아들 신문왕(神文王)이  부왕의 뜻대로 장사지낸후  감은사(感恩寺)를 창건하여 불력(佛力)으로 동해의 왜구를 막고, 아버지의 은혜를 감사하려 하였다.

감은사 금당 (金堂) 아래에는 동해를 향해 구멍을 뚫어두었고,
이는 조수가 금당 밑까지 들어올때  용이 된 문무왕 이 수로를 따라 금당까지 드나들 수 있게 하려 했다고 한다.

대왕암 수중 내부를 공식적으로 발굴한 내용은 찾아볼 수 없었으나,
수중 장지의 사방 수로를 설치한 것으로 볼때  흔히 보는 사리(舍利) 탑의 형식대로 하려 한 것으로도 본다.

 

대왕암-문무대왕 수중릉

 


나당 연합군으로 백제를 멸망시킨후 태종무열왕 이후 21년간 재위기간에 668년 고구려 까지 멸망시킨 후,  
한반도를 욕심내는 당나라를 676년에는 몰아내는데 성공한다.

다만 호시탐탐 귀찮게 구는 왜구를 섬멸하지 못한 대왕은,
죽어서도 후손들을 위해 호국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수중릉에 매장했는지 분골을 그 부근에 뿌렸는지,
정확한 사실은 모르지만,
불교식대로 화장해서 동해바다 이 부근에 장사진 낸 것은 감은사 등 기록과 유물로서 확실하다.
그리고 수중왕릉이 사실로 볼대 이는 세계적으로 유일한 곳이라고 본다.
 

 


문무왕의 간략을 보면 부왕 무열왕(武烈王)의 장자이며 ,
어머니는 김유신(金庾信)의 여동생 문명왕후(文明王后)이다.

태종무열왕의 왕위 계승하고 백제정벌(606년),고구려정벌(668년)에 성공한다.
외세를 등에 업고 승리한 전쟁이 끝난후엔 당나라를 축출한다.

한반도를 통일한 최초의 왕이다.
참고:삼국사기 문무왕 21년(681)조


1. 감은사지

 

문무대왕릉

 

 

 

봉길리해수욕장

 


 

 

양북면 봉길리

 

 

고려왕조(高麗王朝)계보및 왕위계승 도표

고려왕조(高麗王朝)계보및 왕위계승 도표고려왕조(高麗王朝)는 태조왕건이 918년 건국하여 1392년 조선 왕조에게 망하고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기 까지 474년간 한반도를 국토로 하며 이 지역을

dramatique.tistory.com

 

 

 

 

서기(西紀)와 세기와 BC,AD

서기(西紀),세기,BC,AD역사이야기 2018.05.02 19:31 서기(西紀)는 서력기원(西曆紀元)의 약어로서 예수의 탄생을 기점으로 이를 기원(紀元)으로 삼고 그해를 원녕으로 계산하는 서양의 기독교 문화권

dramatique.tistory.com

지심귀명례(至心歸命禮)

 

지심귀명례(至心歸命禮)

지심귀명례(至心歸命禮). 수덕사 탐방때 좋은 뜻의 글귀를 찍은 것 입니다. 쓰신분이 누구인진 모릅니다. 너른 뜻으로 많이 해석되는 글이며 깊은 철학이 담겨있다고 알고 있지만 단순히 해석만

dramatique.tistory.com

 

 

 

 

조선왕조 왕위표와 이성계의 건국

재미로 하는 조선 역사의 재고찰 조선은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총 519년 동안 존재했던 나라임. 1392년에서 1910년까지  총 519년 동안 존재했던 나라임. 때로는 근세조선,이씨조선 이라고도 불리곤

dramatiqu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