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종합/국내-스포츠-뉴스

히말라야 14좌 알아보기

반응형

히말라야 14좌(座)-Himalayas14 

14 Highest Peaks
오은선대장이 히말라야 14좌 완등을 마치고 세계의 산악인이 축하하는 가운데 일반인들의 사이에서도 히말라야 14좌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고 있어 간략한 내용을 알아본다.

히말라야 14좌 알아보기
히말라야 14좌(座)-Himalayas14 14 Highest Peaks

 

 

1950년 프랑스가 안나푸르나1봉(8,091m)을 최초로 등정하고 난후 사상 최초로 인간이 걸어서 8천미터 봉우리를 올랏다고 강조하면서 등반가들이 8000m를 고도 등정의 기본으로 생각하며 중요하게 생각하기 시작하면서부터 히말라야 산맥과 칼라콜람산맥에서 8000m급 산들을 추려서 14개봉우리를 선정한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좌라고 하는것은 한문으로 座 를 말하는데 이 뜻은 산의 지위나 위상을 높여서 부르는 말로서 하찬은 산이 아니라는 말입니다.

즉 성스럽거나 거대하고 위용이 있거나 주산 주봉이거나 등 히말라야 산맥과 카라콜람 산맥에 있는 수없이 많은 산들중에 으뜸으로 칠만큼 크고 중요하고 주봉으로 말하는 산들 14개를 추린것이라 할수 있습니다.

그후 히말라야 14좌는 등반가들의 최종 목표로 생각할만큼 중요하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주산이나 주봉의 개념과 비슷하게 8000m이상이라도 이 14좌에 무조건 포함되지는 않고 있습니다.
이 14좌에 들지 못하고 위성봉으로 생각되는 8000m이상의 고봉으로는 로체샤르(8,400), 캉첸중가 남봉(8,476), 얄룽캉(캉첸중가서봉 8,505)등이 있군요.
최근에는 히말라야 16좌라고 하는분들도 있지만 등반가들이 완등하고 싶어하는 베스트는 14좌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단봉으로서 세계에는 이외에도 8000m이상의 산이 몇 좌 있는 것으로 압니다.

 

 

 


산이름 해발높이/M-FT 소속국가
1. 에베레스트(Everest ) 8,848-29,028 네팔/중국
2. 케이투(K2) 8,611-28,250 파키스탄/중
3. 캉첸중가(Kangchenjunga) 8,586-28,169 네팔/인도
4. 로체(Lhotse) 8,511-27,940 네팔/중국
5. 마칼루(Makalu) 8,463-27,766 네팔/중국
6. 초오유(Cho Oyu) 8,201-26,906 네팔/중국
7. 다울라기리(Dhaulagiri) 8,167-26,795 네팔
8. 마나슬루(Manaslu) 8,163-26,781 네팔
9. 낭가파르밧(Nanga Parbat) 8,125-26,660 파키스탄
10. 안나푸르나(Annapurna) 8,091-26,545 네팔
11. 가셔브룸1봉(GasherbrumⅠ) 8,068-26,470 파키스탄/중국
12. 브로드피크(Broad Peak) 8,047-26,400 파키스탄/중국
13. 가셔브룸2봉(Gasherbrum Ⅱ) 8,035-26,360 파키스탄/중국
14. 시샤팡마(shisha Pangma) 8,012-26,285 중국

참고로 아래는 현재까지 14좌 등반한 분들의 리스트를 네이버지식에 올린 박우근씨가 정리한 자료를 보여 드립니다.

 
히말라야 8,000m 14좌 등정자
NO 등 정 자 국 가 14좌 등정일 소요기간 출생년
1 라인홀트메쓰너 (Reinhold Messner)
이탈리아
1.낭가파르밧(1970.6.27) 2. 마나슬루(1972.4.25) 3. 가셔브룸 1(1975.8.10) 4. 에베레스트(1978.5.8) 5. 낭가파르밧(1978.8.9)) 6. K2(1979.7.12) 7. 에베레스트(1980.8.20)) 8. 시샤팡마(1984.5.28) 9. 캉첸중가(1982.5.6) 10. 가셔브룸 2(1982.7.24) 11. 브로드 피크(1982.8.2) 12. 초오유(1983.5.5) 13. 가셔브룸 2(1984.6.25)) 14. 가셔브룸 1(1984.6.28)) 15. 안나푸르나(1985.4.24) 16. 다울라기리(1985.5.15) 17. 마칼루(1986.9.26) 18. 로체(1986.9.26) 1970~1986년(16년) 1944년42세
2 예지 쿠쿠츠카 (Jerzzy Kukuczka)
폴란드
1. 로체(1979.10.4) 2. 에베레스트(1980.5.19) 3. 마칼루(1981.10.15) 4. 브로드피크(1982.7.30) 5. 가셔브룸 2(1983.7.1) 6. 가셔브룸 1(1983.7.23) 7. 브로드피크(1984.7.17) 8. 다울라기리(1985.1.21) 9. 초오유(1985.2.15) 10. 낭가파르밧(1985.7.13) 11. 캉쳔중가(1986.1.11) 12. K2(1986.7.8) 13. 마나슬루(1986.11.10) 14. 안나푸르나(1987.2.3) 15. 시샤팡마(1987.9.18) 1979~1987년 (8년) 1948년41세
3 에라르 로레땅 (Erhard Loretan)
스위스
1982~1995년 13년 1959년36세
4 카를로스 카르솔리오 (Carlos Carsolio)
멕시코
1985~1995년 10년 1962년33세
5 크리스토프 비엘리키 (Krystof Wielicki)
폴란드
1980~1996년 16년 1950년46세
6 휘니또 오이아르자발 (Juanito Oiarzabal)
스위스
1985~1999년 14년 1956년43세
7 세르지오 마르티니 (Serigio Martine)
이탈리아
1976~2000년 24년 1950년46세
8 엄홍길 대한민국 1. 에베레스트(1988.9.26) 2. 초오유(1993.9.10) 3. 시샤팡마(1993.9.29) 4. 마칼루(1995.5.8) 5. 브로드피크(1995.7.12) 6. 로체(1995.10.2) 7. 다울라기리(1996.5.1) 8. 마나슬루(1996.9.27) 9. 가셔브룸(1997.7.9) 10. 가셔브룸2(1997.7.16) 11. 안나푸르나(1999.4.29) 12. 낭가파르밧(1999.7.12) 13. 캉쳔중가(2000.5.19) 14. K2(2000.7.31) 1988~2000년(12년) 1960년
40세
9 박영석 대한민국
1. 에베레스트(1993.5.16) 2. 초오유(1994.9.27) 3. 다울라기리(1996.4.27) 4. 안나푸르나(1996.5.4) 5. 로체(1997.4.27) 6. 다울라기리(1997.4.27)) 7. 가셔브롬(1997.7.9) 8. 가셔브롬 2(1997.7.19) 9. 초오유(1997.9.27)) 10. 시샤팡마(1998.4.26) 11. 낭가파르밧(1998.7.21) 12. 마나슬루(1998.12.6) 13. 칸쳔중가(1999.5.12) 14. 시샤팡마(1999.9.26)) 15. 마칼루(2000.5.15) 16. 브로드피크(2000.7.30) 17. 로체(2001.4.29)) 18. K2(2001.7.22) 1993~2001년(8년) 1963년38세
10 알베르토 이뉴라테기 (Alberto Lnurrategui)
스페인
1991~2001년 10년 1968년35세
11
한왕용 대한민국
1994~2003년

12 에드 비에스터 (Ed Viesturs)
미국
1989~2005년 16년 45세
13 앨런 힝크스 (Alan Hinkes)
영국
1987~2005년 18년 51세
14 실비오 몬디넬리

이탈리아
1993~2007년 1993~2007년(15년) 49세
15 이반 발레오

에콰도로
1997~2008년 1997~2008년(11년) 50세
16 데니스 우룹코

카자흐스탄
2000~2009년 2000~2009년(9년) 36세
17 랄프 두이모비치

독일
1988~2009년 1988~2009년(21년) 47세
18 베이카 구스탚슨(Veikka Gustafsson) 핀란드
2009년 7월26일 ~2009년 47세
19
앤드류 록(Andrew Lock)  호주
2009년10월2일  
 
20     오 은선     대한민국    2010년 4월27일.    여성 최초 히말라야 14좌 완등.

























네이버지식에서 박우근씨 의

히말라야 8,000m 14좌 등정자 표

URL:네이버지식 바로가기

 

 연관글 목록 

블랙야크 명산 100 플러스 목록과 정보
100대 명산 구병산 등산 후기
영남알프스 간월재 여름 등산 후기
블랙야크 명산 100 플러스 목록과 정보
블랙야크 백두대간 구간 목록과 인증장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