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목나라/자생약초

(42)
개똥쑥 집에서 키우기 개똥쑥 이 좋은 식물이며 우수한 약성에 대해서는 매스컴을 통해서 알려저서 다 아는 사실이기 때문에 그 효능이나 음용방법등은 생략하며 방안에서 화초처럼 키워보려고 합니다. 일단 작은 화분에 심었고 점점 커지면 분갈이를 할 요량으로 어제 옮겼습니다. 잘 키워서 차마실때 한잎씩 따서 넣어 먹으면 어떨가 하는 생각입니다. 이게 잘 키우면 1m도 더 커서 한나무만 해도 무성하고 집안의 식물로서 충분하리라는 생각에 시도해 보는 것입니다. 도회생활이 텃밭을 가꿀만한 텃밭이 잘 없고 아파트 작은 화단에 심어 놓으면 모르는 사람들이 엉뚱하게 부지런해서 잡초인줄 알고 어느날 보면 싹 잘라버리기 일수 이기 때문에 집안에서 키워보려는 것입니다. 특히 개똥쑥의 살균 살치 효과로 인해서 벌레도 없어지리라는 짐작도 해 보고 또 생..
바위에 붙은 예쁜식물 겨울바위에 붙어있는 이름모르는 예쁜식물겨울산행을 하다 바위 벼랑에 붙어있는 예쁜 식물을 보고 사진을 찍었다.이게 무슨 식물인지 모른다.아는분은 댓글 부탁합니다. 이 식물은 키가 작으며 단풍이 들은것인지 원래 그런것인지는 모르지만 노란색이다.양지바른 바위벼랑에 몇포기 근접해서 자라고 있었는데 이끼같기도 한 모습이었다. 댓글을 보니까 우단일옆초라고 하는군요..ㅎㅎ
새삼-토사자 노랑 실같은 기생식물-새삼,무근초(無根草) 새삼(Cuscuta japonica)은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기생 성장한다. 줄기는 황갈색의 철사 모양같기도 하며 실같기도 하며 잎이 없고 뿌리도 없는 식물이다. 꽃은 흰색이며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짧은 이삭 모양의 꽃차례를 이루면서 달리고 각각의 꽃은 종 모양으로 그 끝은 4-5갈래로 나뉜다. 열매는 달걀 모양의 삭과로 익으면 깍정이가 열리고 씨가 나온다. 우리나라 산과 들 아무데서나 자라며 전국 각지에 분포하는 흔한 식물이다. 식물명:새삼,무근초(無根草) . 열매 : 토사자(兎絲子). 메꽃과로서 들에서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칡덩굴이나 들의 풀섶을 덮으며 자라는데 콩밭에도 기생하는 식물로서 다른 식물을 감고 올라가며 자라며 뿌리가 없다. 열매는 들깨만 하며 빛..
도대체 이 생명력은 무슨 물질입니까? 이 끈질기고 무서운 쇠비름의 생명력은 정체가 무엇입니까?여름 때약볕에서 20일 동안 마르지 않는 이 식물의 정체가 궁금합니다.요새 건강식품 하나씩 찾아 산야를 다니는 게 재미있습니다.자생쇠비름을 몇 포기 채취해서 일단 말려 놓았습니다.요새 햇빛이 무섭게 뜨거워서 금방 마를 것이라고 생각했지요. 땅빈대 몇 포기하고 쇠비름 몇 포기를 베란다 햇빛 잘 드는데 말렸습니다.땅빈대는 하룻만에 바짝 말랐는데,어라 쇠비름은 낮에는 시들시들하다가 아침만 되면 파릇파릇 생기가 돌고 머리를 치켜듭니다.밤중에 공기 중의 습기만 받아도 충분히 견딥니다. 에라 모르겠다.창문 쪽으로 땡볕이 바로 드는 곳으로 옮겨 놓고 잊어버렸네요..오늘 보고 두 손 들었습니다. 대충 산엘 갔던 날짜 따져보니까 오늘 20일째인데 아직 싱싱합니다..
털머위 가을꽃 열매로 보는 식물-털머위 학명:Farfugium japonicum: (L.) Kitam. 1939> 북한:말곰취 동명:연봉초(蓮蓬草),ツワブキの名は、艶葉蕗,ツワブキ(石蕗、艶蕗) 식물계: 속씨식물군-진정쌍떡잎식물군-국화군-국화목-국화과-국화아과-금방망이족-털머위속-털머위종(F. japonicum) 학명:Farfugium japonicum : (L.) Kitam. 1939 식물의개략 : 잎이 뿌리에서 총생함. 치아상의 거치가 있음. 엽병을 먹으며 잎은 약으로 씀. 분포 : 바닷가에 자라며 흔하지 않은 식물이다. 잎자루를 식용하며 잎은 민간에서 약으로 이용하고 있다. 약용요약->아래 외형일반: 다년초로 엽병이 있는 잎이 뿌리에서 총생한다.어린 잎은 회갈색 털이 있으나 후에 없어진다. 잎은 신장형이며 두..
부들 가을열매로 보는 식물 -부들(Typha) 학명 : Typha orientalis C.Presl,Typha angustata, 애기부들 (Typha angustata)학명:Typha angustata BORY et CHAUB,애기부들 좀부들 Typha angustifolia L. Typhaceae(부들과)gkraud:Typha minima 분류 : 속씨식물문 - 부들과의 다년생 초본. 쌍떡잎식물문-백합강-닭의장풀아강-부들목(베트스테인 분류 체계로는:판다누스목 ) 용도 : 약용,조경관상용. 크기 : 1~1.5m 꽃특징 : 야생화,육수화서(肉穗花序)-육수꽃차례 -곤봉모양꽃차례(핫도그모양). 동명 또는 이명: 좀부들,애기부들 분포:전국 습지나 연못가 부들과의 여러해살이 습지 식물로 근경은 옆으로 뻗으며 흰색이고..
가을열매로 보는 정원수-팥배나무 가을열매로 알아보는 우리 정원수 - 팥배나무 장미과(Rosaceae-37속) -마가목속(Sorbus-14종)의 쌍떡잎식물이며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교목으로 가을에 빨간 열매가 예쁜 정원수로 좋은 수종이며 생육속도가 비교적 빠른게 특징이다. 국명팥배나무 학명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 별명:물앵나무, 벌배나무, 산매자나무, 운향나무, 목세낭(제주), 팥배(영남),물앵두 이명Sorbus alnifolia (Siebold & Zucc.) K.Koch,Crataegus alnofolia Siebold & Zucc.,Aria alnifolia (Siebold & Zucc.) Decne.,Aria tiliaefolia Decne.,Micromeles alnifolia (..
산사나무-아가위나무 산사나무(山楂-아가위) 산사나무(山楂-)는 산사나무속의 식물로 학명은 Crataegus pinnatifida for. pinnatifida이고, 고유어 이름은 아가위나무이며, 북한에서는 찔광이라고 부른다. 사나나무는 변종도 있는데 잎이 좁고 꽃자루에 털이 없는 좁은잎산사나무(C. pinnatifida var. psilosa Schneider)와 잎이 크고 얕게 갈라지는 넓은잎산사나무(C. pinnatifida var. major N.E. BR.), 잎 뒷면에 빽빽하게 털이 나는 털산사나무(C. pinnatifida var. pubescens Nakai)가 있다. 식용이나 공업용,관상용,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약용으로는 열매를 사용하며 한방 생약명은 산사자(山査子), 산사육(山査肉)이다. 가을철의 명약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