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초목나라/자생약초

(42)
환삼덩굴-율초 환삼덩굴(Humulus) 환삼덩굴속(Humulus)은 장미목 삼과의 식물이며 아래와 같이 다음 세 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1.환삼덩굴(Humulus japonicus). 우리나라 및 동아시아 2.윈난환삼Humulus yunnanensis. 중국 윈난 성의 고유종. 3.홉(Humulus lupulus).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Humulus lupulus var. lupulus. 유럽, 서아시아. Humulus lupulus var. cordifolius. 동아시아 Humulus lupulus var. lupuloides. 북아메리카 동부 Humulus lupulus var. neomexicanus. 북아메리카 서부 Humulus lupulus var. pubescens. 북아메리카 중서부 분류 계:식..
가을열매와 꽃사진(8) 가을열매와 가을꽃사진(8) 좀작살나무 분류:낙엽활엽관목으로 마편초과(Verbenaceae-5속) 작살나무속(Callicarpa-9종) 한국명:좀작살나무 학명:Callicarpa dichotoma (Lour.) K.Koch,allicarpa dichotoma 별명:좀작살 이명:Callicarpa dichotoma (Lour.) K.Koch,Callicarpa jamamurasaki Siebold & Miq.,Callicarpa japonica var. angustifolia Sav.,Callicarpa sieboldii Zippel ex H.J.Lam,Callicarpa japonica var. dichotoma (Lour.) Bakh.,Porphyra dichotoma Lour.,Callicarpa pu..
약용식물-삼백초(천성초) 삼백초(三白草, Saururus chinensis) 약용으로 보는 삼백초의 뛰어난 특성 자생약초를 사용 할 때는 전문의의 처방에 의해서 복용해야 하며 함부로 복용하는것은 위험한 일이다.이 글은 한방적 전문인이 아닌 일반인이 자생약초에 관심이 있어서 공부하는 자세로 습득한 내용을 쓴 것이기 때문에 불확실 하거나 부정확한 내용이 있을수도 있습니다. 학명: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이명(별명,다른이름):삼엽백초, 백설골, 백면골, 물가 삼백초, 사우르,Saururus chinensis (Lour.) Baill.,Spathium chinense Lour.,Saururopsis chinensis (Lour.) Turcz.,Saururus loureiri Decne. 분류:숙근성 ..
약용식물-조개나물(근골초) 꽃으로 알아보는 약용식물 조개나물-근골초(根骨草) 조개나물: 꿀풀과(Labiatae) ,자란초속(Ajuga)-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다년초). 다른이름: Ajuga multiflora Bunge,Ajuga amurica Freyn,Ajuga multiflora var. frevispicata C.Y.Wu & C.Chen,Ajuga genevensis,다화근골초,근골초,계손(溪蓀), 다화근골초(多花筋骨草), 수창포, 창포붓꽃,백모하고초. 분포:러시아, 만주,중국에,우리나라 전역. 형태: 잎은 대생하며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길이 1.5-3cm, 나비 7-20mm로서 양면에 긴 융모가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가장자리에 파상의 톱니가 있다. 4~6 월 개화, 엽액에 자색 꽃이 총상화서로 달리며..
약용식물과 한의학 관련서적 한의학관련 약용식물서적 목록 현대에 재조명되는 약용식물과 한의 관련 서적들은 전문인이나 일반인 구분없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며 특히 불확실한 정보에 의한 자생약초의 오남용을 맊기위해서는 중요한 책들이라고 생각되어 온라인을 중심으로 찾아 보며 공유하고자 한다. 건강.영양식품사전[오꾸다히로미치, 이희윤 옮김, 유일종합기술단, 2006년] 고려의학대사전[김동일 외 19인, 의학과학출판사, 2005년] 고어사전(古語辭典)[남광우, 일조각, 1960년] 국역본초강목(國譯本草綱目)[이시진, 1~52권, 1596년, 이창빈, 안병국, 이상인, 홍원식 감수, 1~15권 번역중 1~3권만 발행, 행림출판사, 1977년] 남북한 의학용어[대한의사협회, 도서출판 아카데미아, 1996년] 농업백과사전[1권][리범수 외 23..
봄꽃으로 보는 나무나라(4)으름덩굴 봄에 피는 꽃으로보는 나무나라(4)으름덩굴 쌍떡잎식물, 미나리아재비목, 으름덩굴과, 낙엽 덩굴식물. 학명:Akebia quinata 분류:으름덩굴과 분포지역: 한국,일본,중국 자생지: 산과 들 Akebia quinata (Houtt.) Decne. : 다섯 잎 으름덩굴 Akebia trifoliata (Thunb.) Koidz. : 세 잎 으름덩굴 var. polyphylla :8닢 덩굴 한약명:목통(木通) 크기: 길이 약 3~6m 정도의덩굴나무 나무나 울타리 등 덩굴형태로 타고 숲을 이룬다. 으름덩굴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다. 자주색의 수꽃이 여러 개(6개) 달린다. 수꽃은 암꽃의 흔적이 있으며, 암꽃은 크고 3∼6개의 심피가 있다. 꽃받침은 3장, 열매는 장과(漿果)로서 긴 타원형이고 10월경에 자줏..
봄꽃으로 보는 나무나라(3)탱자나무,뽕나무 봄에 피는 꽃으로보는 나무나라(3) 탱자나무 (Trifoliate orange) 학명 Poncirus trifoliata Raf. 영어명: Trifoliate orange ,일본명:カラタチ(枳殻、枸橘) 운향과(芸香科 Rut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원산지: 중국이 분포:중국,한국 한국은 주로 중부 이남에 분포. 높이 약 1~3미터 정도까지 자라며 2~5㎝ 정도의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난 3출 겹잎이며, 작은 잎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가는 톱니처럼 되어 있다. 꽃은 흰색이고 4~5월경에 하나씩 피며 열매는 귤과 비슷한 둥근 액과이다. 호랑나비 애벌레의 중요 먹이식물임. 익은 열매는 지름이 3~5㎝ 정도인 노란색의 장과(漿果)이다, 향기가 좋고 날것으로 먹으면 쓰고 신맛이 강해서 먹기 힘들다. ..
예쁜 노랑 자생화-자생약초-애기똥풀 봄부터 여름까지 노랑꽃이 예쁜 자생약초 - 애기똥풀(백굴채) 다른이름: Chelidonium majus L. var. asiaticum (Hara) Ohwi 백굴채(白屈菜:구황본초(救荒本草)),지황련(地黃連,우금화:牛金花:식물명휘(植物名彙),토황련(土黃連:동북약식지(東北藥植誌)),팔보긴(八步緊, 단장초:斷腸草,산서과:山西瓜:요녕경제식물지(遼寧經濟植物誌)),웅황초(雄黃草:섬서중약지(陝西中藥誌)),산황련(山黃連:요녕상용중초약수책(遼寧常用中草藥手冊)),가황련(假黃連: 동북상용중초약수책(東北常用中草藥手冊)),소야인혈초(小野人血草:섬서중초약(陝西中草藥)),까치다리,젖풀,씨아똥 사진을 클릭하면 크게 볼수 있습니다. 꽃이 예쁜 양귀비과의 애기똥풀은 전세계에 2종이며 그중 한개가 우리나라에 변종으로 자라고 있는 가치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