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이야기

교육역사 자료-조선시대

Dramatique 2018. 5. 2. 19:33

 

 

조선시대 인문 교육 제도


학교 형태 교육기관 교육과목
관립학교 성균관
고등교육

중앙(서울)
1397년 설치된
국가 최고 교육기관
생원:100명, 진사:100명 합 200명

대학,중용,논어,맹자,서경,시경,주역,예기,춘추,서법
사학
중등교육

중앙(서울)
1411년 설치됨/ 4부학당
중학, 동학, 서학, 남학 ,
정원 100명 내외

소학,효경,사서,오경,제사,문가예집
종학 중앙(서울)
1428년 설치됨/ 종친부
경서,역사,예서,도의
향교
중등교육

지방에설치된 유일한 관학기관.
전국 모든 군, 현에 설치됨.
지방부,군단위의 지방유생,성균관의하급관리

부,목,군,현에 각각 하나씩.
부목, 대도호부 : 90명,
도호부 : 70명,
군 : 50명,
현 : 30명

훈도 파견, 지방교화/유생교육/ 기술관양성/과거시험대비한시설 강습소

소학,사서,삼경,근사록,여씨향악,정속,이륜행실
사립학교 서원

지방
1542년설치 최초-백운서원.
조선후기엔대원군이 서원철폐령이 내리고 쇠퇴함

16c 이후에는 과거보다 순수 학문연구를 주로함

소학,대학,논어,맹자,중용,심경,통감,근사록,예기,춘추좌전
서당
초등교육

지방
지방양반가중심으로 교육이 행해짐.
조선후기엔 평민자제도 교육받은 초등교육의 기본

향교에 입학하지 못한 선비, 평민의 자제 - 8~16세,

천자문,명심보감,동몽선습,이희원람,격몽요결,소학,동자습,동자례


서양식 교육 방향과는 조금 다르며 도덕을 기본으로 하는 인의 예지를 중점적으로 구성된점이 색다르지만,
나름대로 잘 짜여진 형태라고 생각된다.

어쩌면 물질최선으로 강요되는 현대 사회에서 본다면 다소 뒤떨어지는 교육 내용으로도 볼수 있으나
기회가 주어진다면 이 과정 전부를 이수해 보고싶을 만큼 유학에 대한 전부를 막라한다고 보여 지는군요.

조선시대 인문 교육 제도


아래의 사진들은 나름대로 교육제도의 체계가잡힌 때의 교과서 들의 사진이다.

조선시대교육자료 맹자

성균관의 구성
1.명륜당 - 유학 강의
2.문묘 - 공자 모시는곳
3.양재 - 기숙사
4.존경각 - 도서관
5.비천당 - 과거 시험 보는 장소

조선시대 기술 교육 제도

1.형조(잡과) 2.도화서(취재) 3,호조(취재) 4,전의감(잡과) 5,관상감(잡과) 6,사역원 7,소격서

중앙은 성균관,사학(4부학당)에서 교육 하며 지방은 서원(사학)에서 굥육했다.

조선시대 무과 교육 제도

무술과를 별도로 두어 군사기술을 교육했으며 경당, 화랑, 강예제(7재), 원산학사, 신흥무관학교를 운영했다.

교육과목은 무예, 경서, 병서를 주로하며 유교경전도 포함 됨으로서 권력 기관의 문-무 양 반열을 균형 있게 확립하고 있다.

응시대상: 서얼,중인
시험구분(3등급):초시, 복시, 전시 ->홍패가 수여됨.

해당관리: 갑 - 종7품 , 을 - 종8품 , 병 - 종9품 으로서 과거시험으로 최종 33인을 선발한다.


조선시대 교육기관 서당


조선시대 교과서 예기


조선시대 교과서 주역







조선시대 교과서 시전





[역사이야기/역사,시사,설화,] - 지방국립학교-명륜당
[역사이야기] - 교육역사 자료-조선시대


반응형